뉴욕시 교통당국(MTA)이 지하철 무임승차에 대한 단속을 대폭 강화한다.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한 무임승차로 인해 연간 수억 달러에 달하는 수입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 교통 시스템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위협한다는 비판이 이어지자 본격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다.
MTA는 이번 조치의 일환으로 주요 지하철역에 경찰 인력을 대거 증원하고, 일부 역에는 AI 기반 감시 시스템을 시험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주부터 혼잡도가 높은 타임스퀘어, 유니언스퀘어, 그랜드센트럴 등 주요 허브역을 중심으로 뉴욕시경(NYPD) 소속 경찰들이 입구 개찰구 인근에 상시 배치되며, 의심 대상에 대한 무작위 검사도 강화된다.

무임승차 문제는 팬데믹 이후 급속히 악화됐다. MT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지하철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은 약 1억 3천만 달러에 달했으며, 버스 등 지상 교통까지 포함할 경우 손실은 더욱 커진다. MTA는 “이제는 무임승차가 단순한 민원이나 예외적인 행동이 아닌, 대중교통 재정 전체를 위협하는 구조적인 문제”라고 강조했다.
단속 강화 방침에 대해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 시민들은 대중교통 요금의 형평성을 위해 정당한 조치라고 평가하지만, 또 다른 시민들은 저소득층이나 노숙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것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뉴욕시 공공 변호인단(Public Defender’s Office) 측은 “단속 강화가 취약 계층에 대한 불균형한 단속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MTA에 사회적 배려와 요금 감면 제도 확대를 병행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MTA는 무임승차 방지를 위한 물리적 구조 개선도 함께 검토 중이다. 자동 개찰구를 넘는 ‘점프(over-the-turnstile)’ 행위를 막기 위한 높은 투명 방벽 설치나, 비접촉식 요금 시스템(O.M.N.Y)의 보완 기능 강화 등이 그 일환이다.
MTA 관계자는 “뉴욕시 지하철은 도시의 생명줄이다.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공정한 요금 납부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 뉴욕앤뉴저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