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25, 2025
4 mins read

MTA, 2026년 요금 인상 공식화… 팬데믹 후유증 속 재정 압박 심화

뉴욕 뉴저지 지역 통근 시민들 분통

뉴욕의 상징인 지하철과 버스를 운영하는 메트로폴리탄교통국(MTA)이 결국 다시 한번 요금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MTA 이사회는 23일 열린 정례 회의에서 2026년 1월부터 지하철과 버스의 기본요금을 현재의 2.90달러에서 3달러로 인상하는 방안을 포함한 재정 계획안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와 메트로-노스 요금 역시 최대 4.5%까지 인상될 전망이다. 이번 인상안은 팬데믹 이후 더디게 회복되는 승객 수와 급증하는 운영 비용 사이에서 심화되는 MTA의 구조적인 재정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MTA의 재정난, 결국 시민 부담으로

이번 요금 인상은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MTA가 공개한 최신 재정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지하철 이용객 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70%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재택근무와 유연 근무 제도의 확산으로 안정적인 수입원이 되어주던 매일 출퇴근 승객이 크게 줄어든 것이 결정타가 되었다.

수입은 줄어든 반면, 지출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인건비, 에너지 비용, 시스템 유지 보수 등 운영에 필요한 비용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여기에 더해, 2022년에만 약 6억 9천만 달러의 손실을 안긴 무임승차(fare evasion) 문제 역시 재정난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MTA 관계자는 “2027년부터 다시 수억 달러 규모의 재정 적자가 예상된다”며,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점진적인 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결국 회복 더딘 수입과 늘어나는 지출이라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담이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되는 모양새다.

‘요금 인상’ 너머의 과제, 신뢰 회복이 관건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3달러 시대’를 앞둔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MTA는 OMNY 사용자가 일주일에 12번 요금을 내면 그 이후는 무료로 탑승하는 ‘7일 요금 상한제(fare capping)’를 영구 도입하는 등 당근책을 제시했지만, 근본적인 불만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다. 퀸즈에서 맨해튼으로 출퇴근하는 한 시민은 “요금을 올리기 전에 잦은 지연 운행 문제부터 해결하는 것이 순서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단체 ‘라이더스 얼라이언스(Riders Alliance)’ 역시 성명을 통해 “MTA는 저소득층 통근객들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손쉬운 방법 대신, 운영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정부 지원을 확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관건은 시민들이 인상된 요금을 납득할 만큼 MTA가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달려있다. 만성적인 지연 문제 해결, 시스템 현대화, 안전 확보 등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여 서비스 개선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이번 요금 인상은 시민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힐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몇 달간 열릴 공청회를 거쳐 올가을 최종 결정될 이번 인상안은 MTA와 뉴욕 시민 사이의 신뢰를 시험하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뉴욕앤뉴저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revious Story

몰락하는 쇼핑몰, 버겐 카운티가 보여주는 미국의 단면

Next Story

이재명 대통령, 월가 찾아 ‘코스피 5000’ 비전 알리고 투자 세일즈

Latest from Featured

추수감사절, 신화에서 성찰로

11월의 미국은 언제나 같은 장면으로 시작된다. 공항의 긴 줄, 도시 외곽으로 뻗어나가는 자동차 행렬, 그리고 가족을 기다리는 식탁 위의 커다란 칠면조 한 마리. 매년 네 번째 목요일, 미국인들은 이 의식을 되풀이한다. 추수감사절(Thanksgiving)은…

Macy’s, 미국의 쇼윈도를 만든 이름

한 점포의 꿈이 제국이 되다 ― R.H. Macy의 시작과 뉴욕의 시대 1858년 뉴욕 맨해튼의 14번가, 그리 크지 않은 상점 하나가 문을 열었다. 창업자 로랜드 허시 메이시(Rowland Hussey Macy) 는 세탁업과 선원 생활,…

“작은 상자에서 시작된 거대한 경제”- POP MART

중국의 팝마트(POP MART International Group, 泡泡瑪特)는 단순한 장난감 제조업체가 아니다. 2010년 베이징에서 설립된 이 기업은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라는 단순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10년 만에 글로벌 완구 산업의 중심에 올라섰다.…

[오피니언] 표현의 자유와 총기 규제

11월의 워싱턴, 의사당 앞 잔디밭에는 두 개의 깃발이 나란히 휘날린다.하나는 “Don’t Tread on Me”라 적힌 전통적 자유주의의 상징이고, 다른 하나는 “Gun Rights are Human Rights(총기 소유는 인권이다)”라는 문구를 담은 깃발이다. 같은 공간에…

2025년 뉴욕에서 추수감사절, 알차게 준비하는 법

11월의 뉴욕은 특별한 향기로 가득하다. 메이플과 시나몬 냄새가 거리를 감싸고, 거리 곳곳의 창문에는 칠면조와 단풍잎 장식이 걸린다. 그리고 목요일 아침, 허드슨강 너머로 햇살이 번질 때, 사람들은 모두 같은 목적을 향해 움직인다. 바로…
Go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