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글로벌 미식 브랜드 ‘딘타이펑(Din Tai Fung)’은 뉴욕에 픽업 스토어 방식으로 첫 진출을 시도했다. 당시에는 테이크아웃 전용 포맷으로 제한적인 운영을 했으며, 정식 레스토랑 형태는 아니었다. 이후 2024년, 맨해튼 미드타운 51번가에 전통적인 홀 다이닝이 가능한 정식 매장을 오픈하며 본격적으로 뉴욕 시장에 안착했다.

이번 뉴욕점은 기존의 패스트 캐주얼 느낌을 탈피해, 철저하게 업스케일 레스토랑으로 포지셔닝했다. 모던하고 우아한 인테리어, 유리창 너머로 펼쳐진 오픈 키친의 장면은 하나의 퍼포먼스처럼 연출된다. 바 형태의 좌석 배치, 고급 칵테일 라인업, 은은한 조명과 음악이 ‘고급 아시아 미식 경험’을 연상케 한다.

하지만 이 고급화 전략은 가격 문제와 맞물려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샤오롱바오 한 판(6개 기준)이 18달러, 트러플 샤오롱 바오는 28달러 수준이다. 메인 요리 하나에 20 달러 이상, 디저트 또는 음료를 포함한다면 1인당 60-80달러가 순식간에 청구된다. ‘딤섬은 가성비 음식’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진 이들에게 이 가격은 다소 당혹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뉴욕식 해석, 그리고 샤오롱바오의 진화

딘타이펑의 시그니처 메뉴인 샤오롱바오는 뉴욕점에서도 중심에 있다. 얇고 투명한 피 안에 육즙 가득한 돼지고기 속이 담긴 이 딤섬은 한 입 베어물었을 때 터지는 식감과 향이 인상적이다. 특히 육즙 온도가 미세하게 낮춰져 있어 입천장을 데일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섬세한 조리력의 증거다.

트러플 샤오롱바오는 뉴욕점의 대표 메뉴로, 얇은 피 사이로 퍼지는 트러플 향이 이국적인 고급스러움을 선사한다. 다만 일부 고객은 “트러플 향이 육즙 본연의 맛을 가린다”는 아쉬움을 표하기도 한다. 게살 샤오롱바오는 달콤한 해산물 풍미와 깊은 고기육즙의 조화가 인상적이며, 스몰 포션으로 구성되어 코스 요리의 일부로 적합하다. 딤섬 외 사이드 요리로는 피넛소스를 곁들인 오이절임, 산뜻한 시금치볶음, 해산물탕면, 탄탄면 등이 있으며, 각 요리는 중화권의 깊은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뉴욕식 깔끔함을 더했다.
오픈 키친과 서비스: 시각적 만족과 효율성의 경계
딘타이펑 뉴욕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오픈 키친’이다. 수십 명의 주방 직원들이 투명한 유리 너머에서 일사불란하게 딤섬을 빚는 모습은 마치 하나의 무대처럼 연출된다. 위생에 대한 자신감은 물론, 고객에게 조리 과정을 투명하게 보여주겠다는 브랜드 철학이 묻어난다.

서비스는 전반적으로 정중하고 빠르며, QR코드를 통한 메뉴 확인과 직원 주문 시스템이 병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급 레스토랑을 표방하면서도 다소 바쁜 분위기와 시끄러운 홀 소음은 이질적인 요소로 느껴질 수 있다.
딘타이펑은 타이완의 골목식당에서 시작해 일부 해외 지점(예: 홍콩 지점)에서 미슐랭 1스타를 획득한 경력을 가진 브랜드다. 그만큼 대중성과 고급성이 공존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갖고 있었지만, 뉴욕점에서는 그 균형이 다소 한쪽으로 기울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지화된 메뉴와 세련된 인테리어는 환영받지만, 가격과 예약 시스템 부재는 방문객 입장에서는 불편 요소로 작용한다.
결론: 뉴욕식 ‘고급 딤섬’의 새로운 실험
뉴욕 딘타이펑은 단순히 딤섬을 먹는 공간이 아니라, 동아시아 미식을 하나의 ‘경험’으로 전환시키려는 시도다. 고급화 전략은 어느 정도 성공했고, 인테리어와 음식 퀄리티는 기대 이상이다. 하지만 동시에 높은 가격, 예약 불가, 소음 문제 등은 해결 과제로 남는다.

딘타이펑이 뉴욕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고급화된 아시아 요리’가 미국 대도시에서 어떤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하나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성공의 여부는 앞으로 ‘얼마나 대중성과 가격 현실성을 조율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총평 요약
항목 | 평가 |
---|---|
음식 맛 | ★★★★★ |
분위기 | ★★★★☆ |
서비스 | ★★★★☆ |
가격 만족도 | ★★☆☆☆ |
“샤오롱바오의 품질은 세계적이지만, 뉴욕이라는 이름값이 그 위에 프리미엄을 얹는다.”
ⓒ 뉴욕앤뉴저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