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 Rooftop Restaurant at RH New York: 디자인이 미식을 만나는 순간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지역, 미트패킹 디스트릭트의 새로운 얼굴

뉴욕 맨해튼의 미트패킹 디스트릭트(Meatpacking District)는 한 세대 전만 해도 고기 유통 창고와 도축장이 즐비하던 산업 지대였다. 좁고 울퉁불퉁한 자갈길과 오래된 창고 건물들이 이 지역의 정체성을 말해주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고급 부티크, 디자인 숍, 세련된 바와 레스토랑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이곳은 급격하게 ‘뉴욕의 트렌드 허브’로 변모했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그 중심에는 한때 전설적인 비스트로였던 Pastis 자리가 있다. 뉴요커와 예술가, 패션 피플이 몰려들던 이 레스토랑은 오랫동안 미트패킹의 상징 같은 존재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문을 닫았다. 바로 그 자리에 들어선 것이 RH New York, The Gallery다. 가구 브랜드로 출발했지만 이제는 라이프스타일 전체를 디자인하는 기업이 된 RH는, 뉴욕의 심장부에 거대한 쇼룸과 레스토랑을 결합시켜 새로운 형태의 문화 공간을 만들었다.

이 건물의 5층, 유리 엘리베이터가 열리는 순간 눈앞에 펼쳐지는 RH Rooftop Restaurant은 단순히 ‘식사하는 곳’이 아니다. 그것은 RH라는 브랜드가 가진 철학—공간, 디자인, 미학,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집착—을 그대로 구현해낸 상징적 공간이다.

유리 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르는 ‘의식’ 같은 경험

RH Rooftop Restaurant을 방문하는 경험은 입구에서부터 특별하다. 투명한 유리 엘리베이터를 타고 위로 오르는 순간, 시선은 이미 단순한 식당 입장이 아니라 ‘의식(ritual)’에 가까운 여정을 겪는다. 엘리베이터 안쪽으로는 화려한 크리스털 샹들리에가 반짝이고, 벽면에는 고급 석재와 조각품이 장식되어 있다. 중앙에는 물이 흐르는 듯한 설치물이 있어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한다.

마치 패션쇼 런웨이에 입장하는 모델처럼, 손님들은 위로 오르면서 점점 더 고조된 기대감을 안게 된다. 그리고 문이 열리는 순간, 탁 트인 유리 천장 아래 펼쳐진 레스토랑 내부는 마치 한 편의 장면 전환처럼 눈앞에 펼쳐진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고급 가구가 배치된 널찍한 공간, 식물과 샹들리에가 어우러진 정원 같은 분위기, 그리고 큰 창을 통해 들어오는 뉴욕의 빛—이 모든 것이 식사 전부터 이미 시각적 포만감을 안겨준다. RH는 이 공간을 단순히 ‘맛을 보는 장소’가 아니라, 시각·청각·촉각이 동시에 관여하는 감각적 무대로 재구성했다.

정원과 인테리어 쇼룸의 경계에서

레스토랑의 중심은 ‘실내 정원’이다. 천장을 가득 메운 유리 패널은 낮에는 자연광을 끌어들이고, 밤에는 뉴욕의 빛나는 야경을 담아낸다. 정원에는 박스형으로 다듬어진 나무와 관엽식물이 배치되어, 도시 한가운데서도 자연의 균형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모든 좌석은 RH의 시그니처 가구들로 꾸며져 있다. 넓은 소파, 편안한 가죽 의자, 클래식한 우드 테이블—all RH 컬렉션의 전시장이자 사용 공간이다. 손님은 단순히 음식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RH가 제안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몸소 체험한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이 경험은 다른 레스토랑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대부분의 식당은 ‘음식’을 중심에 두고 공간을 보조적인 역할로 설정하지만, RH Rooftop은 정반대다. 이곳에서는 음식이 공간의 일부로 흡수된다. 식탁에 앉는 순간 손님은 RH라는 브랜드가 구현한 하나의 세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클래식 아메리칸 요리, ‘무난함 속의 고급’

RH Rooftop Restaurant의 메뉴는 놀라울 정도로 단순하다. 화려한 퓨전이나 실험적인 플레이팅보다는, 미국 전통 요리를 현대적으로 세련되게 다듬은 것이 주를 이룬다.

대표 메뉴인 RH 버거는 두툼한 패티 위에 신선한 채소와 치즈를 올린 전형적인 아메리칸 스타일이다. 특별한 변주는 없지만, 고급 재료와 정교한 조리로 인해 ‘기본에 충실한 맛’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인기 메뉴인 랍스터 롤은 고소한 버터 향과 탱글한 랍스터 살이 어우러져, 동부 해안 전통 요리의 정수를 보여준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이 외에도 크리스피 아티초크, 리브아이 샌드위치, 부라타와 토마토 샐러드 등이 꾸준히 사랑받는 메뉴다. 일부 방문객은 버거가 평범하다 평가하기도 하지만, 이는 의도된 ‘무난함’에 가깝다. 이곳에서 음식은 강렬한 실험보다는 공간의 경험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가격대는 대체로 합리적인 편이다. 메인 요리 대부분이 30달러 전후에 형성되어 있으며, 뉴욕 고급 다이닝 치고는 ‘접근 가능한 럭셔리’에 속한다. RH가 의도하는 것은 ‘맛의 혁신’이 아니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클래식한 미식 경험을 디자인적 무대 위에서 즐기게 하는 것이다.

공간이 곧 콘텐츠가 되는 다이닝

RH Rooftop을 경험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여기는 음식을 먹는 곳이라기보다, 공간 자체를 소비하는 곳”이라고 말한다. 예약을 하고 도착하면, 3층 라운지에서 와인이나 커피를 즐기며 쇼룸을 둘러볼 수 있다. 대리석 바닥 위로 진열된 고급 가구, 벽에 걸린 대형 거울과 예술 작품들은 손님들에게 또 다른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사진을 찍는 방문객도 많다. 특히 유리 천장과 정원 같은 공간은 인스타그램 피드를 장식하기 좋은 배경으로 유명하다. 뉴욕의 많은 레스토랑이 ‘맛’으로 경쟁한다면, RH Rooftop은 ‘분위기와 경험’으로 기억된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물론 비판도 있다. Reddit과 같은 커뮤니티에서는 “서비스가 느리다”거나 “음식은 특별하지 않다”는 평가가 종종 올라온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명확하다. 바로 ‘공간이 곧 콘텐츠’라는 사실 때문이다. 뉴욕은 언제나 새로운 경험을 갈망하는 도시이고, RH Rooftop은 그 갈망을 채워주는 무대다.

RH가 그려낸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다이닝’

RH Rooftop Restaurant at RH New York은 단순한 레스토랑이 아니다. 그것은 디자인과 다이닝이 만나는 교차점이자, RH라는 브랜드의 철학을 그대로 구현한 프로젝트다.

[출처: 뉴욕앤 뉴저지, DB 금지]

뉴요커와 관광객 모두에게 이곳은 음식과 공간이 서로의 배경이 되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특별한 맛’ 대신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곳, 그리고 고급 가구 브랜드가 만든 레스토랑이라는 점에서, RH Rooftop은 뉴욕 외식 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RH Rooftop을 찾는 사람들은 맛보다도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으러 오는 것일지도 모른다.

뉴욕앤뉴저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revious Story

[오피니언] 인종과 정체성의 전환기: 미국 사회의 균열과 문화적 상상력

Next Story

조지아주 이민단속 영상 공개…손발 결박된채 줄줄이 연행

Latest from Featured

뉴욕, 현실을 비트는 공간 — 일루전 뮤지엄 완벽 리뷰

뉴욕은 늘 새로운 무언가를 갈망하는 도시다. 미드타운의 고층 빌딩, 소호의 아트 갤러리, 브루클린의 힙한 카페처럼, 도시의 구석구석은 늘 예기치 못한 발견으로 가득하다. 그중에서도 첼시(Chelsea)에 자리한 Museum of Illusions New York은 조금 특별하다.…

경제학 용어로 읽는 인플레이션 시대 (2)

서론: 물가와 성장 사이의 줄타기 경제를 움직이는 두 축은 물가 안정과 성장 유지다. 그러나 두 가지 목표는 종종 충돌한다. 물가가 치솟으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려 억제하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경기가 둔화된다. 반대로 경기…

김밥, 그것을 알고 싶다

한국인의 근대 역사를 반영하고 있는 음식: 김밥 최근 뉴욕의 한식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도시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맨해튼 미드타운의 점심시간, 긴 줄이 늘어선 푸드코트 한쪽에서는 김밥을 주문하는 현지인들의 목소리가…

경제학 용어로 읽는 인플레이션 시대

서론: 물가라는 거울 2025년 현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목표로 삼는 ‘물가 안정 기준선’인 2%와 비교하면 소폭 높은 수준이지만, 팬데믹 직후 한때 9%를 넘었던 물가…
Go toTop